달의 자원을 채굴하는 것은 현실적인 것인가?

인간은 오래전부터 달에 관심을 보이고 있었으며, 1969년에는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해 인류 최초로 달표면에 인간의 발자국을 남기기도 했다. 1972년에 달에 착륙 한 아폴로 17호를 마지막으로 인간에 의한 달 탐사는 끊어져 버렸지만, 인간에게 "달을 개발한다"라는 것은 큰 꿈으로되었다.



그런 달의 개발에 대해, 노스 캐롤라이나 주립 대학의 행성 지리학 교수 인 Paul K. Byrne 씨가 그의 생각을 밝혔다.


만약 인간이 달에 던져진다면, 얇은 대기로 인해 즉시 죽어버린다. 그렇지않아도 극단적 인 기온 차이와 운석의 충돌, 인체에 유해한 우주선이 쏟아지는 달의 환경은, 대체로 인간의 생존에 적합한 환경은 아니다. 그래도 인간은 달의 개발을 원하고 있으며, 개발에는 주거와 공기, 음식, 에너지 등 자원을 필요로한다. 




Byrne 씨는 "우리는 지구에서 달로 자원을 가져갈 수 있지만, 이것은 매우 비싼 선택이다"고 지적한다. 지구에서 달 개발에 필요한 자원을 쏘아 올리는 것은 엄청난 비용이 소요되므로, 자원을 달 자체에서 찾는 "In situ resource utilization(그 자리에서의 자원 이용)"이라는 개념이 주목받고 있는 것.



달의 개발이 진행되고 달 기지가 건설되면, 화성이나 다른 행성에 중요 한 발판이 될수 있는것외에, 다양한 기술 혁신을 가져올지도 모른다고 Byrne 씨는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은 달의 자원을 이용한다는 생각은 공상에 가깝고, 달에서 자원을 채굴하고 사용 가능한 형태로 변환한다는 것은 곤란하다고 한다.


그래도 중국을 포함한 여러 나라가 달에 인간을 보내려는 미션에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달의 자원을 이용하기위한 기술은 필요해지고 있다.



이미 달의 자원을 활용한다는 계획을 세우고있는 기관도 존재하고 있으며, 유럽 우주국(ESA)은 2022년에 달 남극에 탐사선을 투입해, 달과 유용한 화학 물질을 찾기위해 이 지표를 뚫으려 하고있다. 




또한 달 표면에 지구보다 훨씬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보이는 헬륨 동위 원소 "헬륨 3"를 채굴하고, 달의 레골리스를 지구로 가져오겠다는 계획도 있다고한다. 헬륨 3는 핵융합로의 연료로 사용이 유망하다고 생각되고 있으며, 달에는 확실히 유용한 자원이 있다고 한다.



한편 금과 플래티넘, 희토류 원소 등 귀중한 원소를 채굴하는 목적에는, 달은 그다지 적합하지 않다고 Byrne 씨는 말하고 있다. 이것은 물과 모래로 채워진 시험관을 흔들면 결국 모래가 시험관의 바닥에 쌓이는 것과 같은것으로, 행성이 융해했을 때 무거운 원소가 행성 중심으로 가라앉아 버리기 때문. 그래서 무거운 금속 등의 자원을 얻으려면, 달 보다도 소행성 등과 같이 작은 천체가 바람직하다는 것.


또한, 달을 개발한다는 것은 자원을 얻을뿐만 아니라 태양계와 지구의 성립에 대해서도 알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향후 수십 년은 달 개발의 새로운 단계에 도달하고, 자원의 채굴과 인간의 거주 등의 단계로까지 개발이 진전 될 가능성도 있다. 미래에는 달을 발판으로 더 큰 우주로 도약 할 수있을 것이라고 Byrne 씨는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