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어떤 이야기를 할 때 손가락질을 하거나, 팔을 사용하는 등 다양한 제스처를 사용 할 수있다. 이러한 움직임은, 듣는 사람에게 생각을 전달하는 데 도움이 될뿐만 아니라, 학습에도 도움이된다는 것 같다.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뭔가를 배우고 있을 때, 선생님의 움직임을 보고, 손과 팔의 동작을 모방하면 더 기억하기 쉬운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최근의 연구에서는, 학습자에 대해 특정 움직임을하도록 지시하면, 학습자는 왜 그 움직임을 하고있는지에 대해 인식하지 않아도, 학습에 도움이 시사되고있다라는 것.
캘리포니아 대학교 로스 엔젤레스 캠퍼스 및 캘리포니아 주립 대학 로스 엔젤레스 캠퍼스의 연구진은 이 연구를 진행하여 "제스처의 힘"의 경계를 찾고있다.
연구자들이 실시한 것은, 통계 모델의 비디어 시청 경험을 통한 실험이다. 참가자들은 3그룹으로 나누어, 먼저 A그룹은 아무것도하지 않고 비디오를 단순히 시청. B그룹이 본 것은, A그룹이 본 영상에, 그래프에서 빨간 막대가 떨어지는 애니메이션을 계속 본 것으로, 참가자들은 손에 빨간 막대를 가지고 똑같이 움직임을 흉내내었다.
C그룹도 붉은 막대의 애니메이션이 쌓인 영상을 보고, 막대의 움직임을 흉내내었지만, 빨간 막대의 움직임은 그래프와는 전혀 관계없는 움직이었다.
영상을 3회 본 뒤, 참가자 전원이 짧은 설문에 응답 한 결과, 점수는 그룹 B>그룹 A>그룹 C의 순으로되었다. 이것은 지시 된 동작이 무의식적으로라도 생각에 영향을 준 것이라고 추측되고있다.
제스처는 "학습자를 질리게하지 않는다"라는 장점도 있다. 실험 영상을 3회 반복하여 봤지만, 그 때마다 영상을 얼마나 이해할 수 있는지 참가자들에게 평가받은 결과, 몸짓을했었던 B그룹과 C그룹은 높은 평가를 받았지만, 제스처를 하지않은 A그룹의 평가는 2번째부터 3번째까지 약 20% 감소했다. 이것은 A그룹 참가자의 "이해도가 떨어졌다"는 것이 아니라, "다시 비디오를 봐야한다"라는 불만으로 부터 나온 것으로 간주....